Skip to main content

[독일] 민O빈_Bonn University_2024학년도 1학기 파견

Submitted by Editor on 20 December 2024

 

I. 교환 프로그램 참가 동기

교환 프로그램을 지원할 당시 학업에 지친 상태에서 잠시 쉬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거 같습니다. 그 방법을 찾던 중 교환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해 6개월동안 저의 시간을 온전히 갖고 진로에 대해 깊이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 길게 살아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해외에서 체류하며 보내는 시간들이 의미 있는 경험으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해 교환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II. 파견대학 및 지역 소개

1. 파견대학/지역 선정 이유

파견국을 독일로 정한 이유는 유럽 여행에 용이하면서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물가가 저렴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영어 사용에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 같다고 판단하여 파견국을 독일로 선택했습니다. 그 후, 독일 내에서 파견대학과 지역을 정할 때는 특별히 선호하는 대학과 지역이 없었기 때문에 귀국보고서를 꼼꼼히 읽어보며 각 대학별 장단점을 비교하였습니다. 그 중 Bonn 대학교의 경우 한국학과가 있어 Tandem 제도나 버디 프로그램 등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내 프로그램이 잘 갖추어져 있다는 후기가 많았고, 제가 생각한 기준을 대부분 충족했기 때문에 Bonn 대학교를 선택했습니다.

 

2. 파견대학/지역 특징

Bonn은 과거 서독의 수도였으며, UN과 한국 대사관이 위치해 있습니다. 봄에는 벚꽃이 유명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으며, 하리보 본점과 공장이 있어 한국에 없는 다양한 종류의 하리보를 시도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SB60을 타면 쾰른/본 공항까지 약 20-30분 정도로 가까워 라이언에어와 같은 저가항공사나 Flixbus를 이용하기 용이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여행을 자주 다닌 편이라 이 점이 매우 편리했습니다.

 

Bonn 중심을 라인강이 가로지르고 있어 라인강을 따라 산책하기에도 좋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기숙사에서 3분만 걸으면 바로 라인강이었기 때문에 아침마다 러닝을 하거나 자전거를 탔고, 주말에 친구들과 시간이 맞으면 피크닉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라인강은 본에서 제가 제일 좋아한 장소이자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Bonn은 교환학생으로 오기 전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만족하고 있는 지역이고, 함께 온 교환학생 친구들도 본으로 교환학생 오기 잘했다고 말할 정도로 많은 장점을 가진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III. 출국 전 준비 사항

1. 비자 신청 절차

교환학생이 확정되면 바로 비자 테어민(termin)을 예약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테어민은 한달 전에 예약 가능한데, 예약이 매우 어려운 편이라 저는 겨우 예약을 성공했고 다행히 출국 하루 전에 비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비자를 받지 못한 친구들의 경우에 Bonn에서도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이 크게 어려워 보이지는 않았으나, 초기 정착 시기에 번거로운 일을 하나 줄일 수 있으니 한국에서 비자를 받고 오는 걸 추천드립니다.

 

2. 숙소 지원 방법

교환학생이 확정되면 studierendenwerk Bonn이라는 학생 기숙사 담당 부서로부터 기숙사 관련 이메일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이메일에 따라 원하는 기숙사 형태 등을 신청하면 배정된 기숙사를 다시 이메일로 안내받고 계약서 등을 주고받는 등의 메일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교환학생의 경우에는 화장실/주방이 포함된 1인실 기숙사를 사용하는 거 같습니다.

 

3. 파견 대학 지불 비용(student fee, tuition fee, 기숙사 비용 등)

Bonn 대학교 교환 확정 이후 입국 전 사회기여금으로 약 50만원 정도를 지불했습니다. 하지만 대신 독일 전역의 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세메스터 티켓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 티켓 덕분에 독일 곳곳을 여행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기숙사는 월 330유로로 한 달에 약 47-48만원 정도였고, 기숙사 입사 전 두 달치 월세를 보증금으로 지불했습니다. 보증금은 퇴사 후 6-8주 이내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 학교에 지불한 추가 비용은 없었습니다.

 

4. 기타 유용한 정보

- 기숙사 입사 : 기숙사 오피스 운영 시간이 오후 1시까지로 짧습니다. 그래서 입사 날 다른 숙소에서 하루 묵고 입사한 친구들이 있었는데, 운영 시간 이후에도 열쇠 보관함 등의 방법을 통해 방 열쇠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리 기숙사 오피스에게 문의하여 운영 시간 이후 열쇠 수령 방법을 확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Anmeldung(안멜둥) : Bonn에 도착하면 원칙적으로 시청에 14일 이내에 Anmeldung을 해야 합니다. 이 역시 비자와 마찬가지로 테어민이 필요하므로 입국 전에 미리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 국제학생증 : 국제학생증이 있으면 유럽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박물관/미술관 등이 많습니다. 여행 시 유용하게 사용되니 한국에서 국제학생증을 발급받고 오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IV. 학업

1. 수강신청 방법

정규 학기(4월/10월) 전, 독일어 강의를 3주 정도 수강하는 독일어 집중코스의 경우에는 이메일 안내를 통해 독일어 레벨 테스트를 응시하고 그에 맞는 반이 배정되는 방식입니다.

 

정규 학기의 경우에는 수강편람을 통해 자신이 수강하고 싶은 강의를 선택하고, 교수님께 이메일로 수강 허가를 받아 등록하는 방식입니다. basis.uni-bonn.de 사이트를 통해 수강편람을 확인하고, 강의 언어와 시간 등을 참고하여 시간표를 짤 수 있습니다.

 

교수님께 보내는 이메일은 자유 양식이지만, 일반적으로 자기소개와 수업을 수강하고 싶은 이유를 적어 보내면 교수님께서 허락을 해주시는 거 같습니다. 다만, international office에서 열리는 수업의 경우 정원 초과로 인해 원하는 수업을 못 듣는 경우가 있었으니 수강 희망 강의가 정해지면 가능한 빨리 교수님께 메일을 보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 수강과목 설명 및 추천 강의

-Intensive German Course(A1.1) : 교환학생을 위한 독일어 강의로, 정규 학기가 시작되기 한 달 전에 시작되어 주 4회 진행되는 수업입니다. 입국 전 온라인으로 레벨 테스트를 응시한 후 레벨 별로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정규 학기 시작 전에 독일어 공부를 하고, 여러 교환학생들을 만나며 교환학생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수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Semester German Course(A1.2) : 독일어 집중 코스 이후 학기 중에 수강한 독일어 수업입니다.

 

- Public Economics : 공공경제학을 다루는 석사 강의입니다. 전공 학점으로 인정되는 수업 중 하나라 수강하게 되었는데, 난이도가 굉장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경제학 이론 수업과 더불어 STATA 통계 프로그램 적용 문제도 풀기 때문에 경제학 베이스가 있어야 따라갈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학기 중에 과제는 없으나 종강 후에 기말 시험을 응시하고 이 시험을 통과해야 학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U.S. Foreign Policy – Central Concepts and Strategic Challenges : 미국의 외교정책을 러시아, 중국, 유럽,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등의 국가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는 석사 강의입니다. 이 강의의 경우 매주 한 명이 발제를 하면 그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세미나 형식입니다. 토론 및 발언이 많이 요구되는 수업이라 국제 관계에 대한 베이스가 있으면 좋을 거 같습니다.

 

3. 학습 방법

한국에서 공부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한국에서 수강하는 강의보다 출석에 대한 중요도는 낮은 대신, 수업 중 참여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교수님께서 제공해주시는 학습 자료를 매주 읽어가는 방식으로 학습했습니다.

 

4. 외국어 습득 요령

독일어를 공부한 경험이 전혀 없는 채로 교환학생을 합격한 후에, 독일어 인강을 통해 조금의 베이스를 만들고 교환학생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추가로 방학과 학기 중에 독일어 수업을 들은 결과, 독일에서 생활할 때의 어려움은 크게 없었던 거 같습니다. 독일인들이 일반적으로 영어를 잘 구사하기 때문에 영어로도 의사소통이 가능했지만, 기차 안내 방송 등에서 독일어를 알면 유용하게 사용되는 거 같습니다.

 

5. 기타 유용한 정보

Bonn 대학교의 모든 수업이 해당되는 지는 모르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시험이 학기 중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기가 끝난 후 2주 정도의 시험 기간이 있고, 시험 한 달 전에 정확한 시험 날짜를 공지 받았습니다. 혹시 수강하려는 과목 중에 시험을 응시해야 학점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이 있다면 시험 날짜를 확인하고 종강 후 일정을 계획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V. 생활

1. 가져가면 좋은 물품

1) 미니밥솥

한국에서 가져갈 때 은근 부피가 커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결과적으로 가장 잘 가져간 물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요리하는 것도 좋아하고 한식을 해먹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하였습니다.

 

2) 공유기

Bonn 시내 내의 MediaMarkt에서도 공유기를 구매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 사면 조금 더 저렴하기도 하고 바로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 자리가 남으면 가져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큰 백팩/기내캐리어

저는 화물용캐리어 2개를 챙기느라 기내캐리어를 챙기지 못했는데 대신 큰 백팩에 여행 짐들을 넣고 다녔습니다. 큰 백팩을 이용하는 경우 라이언에어 등을 이용할 때 수화물 추가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저렴하게 비행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바람막이/경량패딩

독일 날씨는 정말 오락가락합니다... 특히 4월에 갑자기 비가 오거나 추워지는 날이 많았는데 이 때 모자 있는 바람막이나 경량패딩을 유용하게 잘 입었습니다.

 

5) 자물쇠/핸드폰스트랩 등 보안용품

여행할 때의 소매치기 위험으로부터 조금이나마 벗어나게 해줍니다.

 

6) 돗자리

다이소에서 돗자리 5천원짜리를 하나 사왔는데 라인강이나 hofgarten에서 피크닉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2. 가져오지 않아도 되는 물품

저는 한국에서 바리바리 짐들을 챙겨왔는데, 막상 생활해보니 독일도 사람 사는 곳이었습니다.

 

1) 생필품들 – ex) 샴푸, 린스, 세제, 치약

모두 DM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2) 양념장/라면 – 저는 한국에서 쌈장, 된장, 고추장, 소금, 설탕, 고춧가루, 다시다, 코인육수 등 양념장들을 거의 다 챙겨왔는데 goasia에 대부분 다 팔고 있었습니다. 물론 가져오면 초기 정착비용을 절약할 수 있지만 이것 역시 무리해서 챙겨올 필요는 없습니다.

 

3)

본 중앙역 쪽에 Primark나 H&M 등 여러 옷 가게들이 몰려 있어 의외로 옷을 저렴하게 살 수 있습니다. 물론 옷들 사이즈가 큰 편이기 때문에 바지 같은 건 자신의 사이즈에 맞게 여러 개 챙겨오는 걸 추천하지만, 기본 티셔츠 등은 많으니 모두 챙겨올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또 옷을 많이 챙겨와도 여기에 있다 보면 결국 옷을 사게 돼서 적당히 챙겨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3. 현지 물가 수준

독일의 경우에는 외식 물가가 비싸지만 식자재 물가는 한국보다 저렴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유제품(ex. 요거트, 치즈)이나 채소, 과일류가 저렴하여 저는 식자재를 구매해 주로 집에서 해먹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식비를 많이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4. 식사 및 편의시설 (식당, 의료, 은행, 교통, 통신 등)

식당) Bonn의 식당에서 먹은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이 해주는 한식이 너무 생각나면 Mandu라는 한식당을 추천드립니다. 독일인들도 많이 가는 한식당입니다. 또 맛이 있는 편은 아니지만 학생 식당(Mensa)도 저렴해서 교환학생 초반에는 두어번 먹었던 것 같습니다. 그 외에 Bonn에 되너(케밥) 맛집도 많으니 드셔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의료) 저는 다행히 교환학생 기간 중 아픈 일이 없었는데 TK 공보험을 어떻게든 쓰기 위해 자궁경부암 백신을 2회차까지 맞고 돌아왔습니다. TK 공보험으로 매달 빠져나가는 130유로가 꽤 큰 돈이니 이렇게라도 공보험을 쓰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은행) 처음 교환학생을 준비할 때 N26이나 ViVid 쓰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만들어보려고 했는데 만드는 과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는 Revolut 계좌를 만들었는데 교환학생 생활하면서 문제된 적이 없었습니다.

 

교통) 4월이 되면 학생증과 함께 세메스터티켓을 받게 되는데, 이 티켓으로 IC/ICE를 제외한 RE/트램/버스/U반/S반 모두 탑승이 가능합니다. 학생증이 4월에 나오기 때문에 3월 한 달 동안은 49유로 티켓을 사용했습니다.

저는 독일 교환학생 중에 이 세메스터 티켓을 잘 활용한 사람 중 한 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RE를 여러 번 갈아타서 함부르크, 하이델베르크 등 독일 전역을 여행하면서 독일 여행 교통비를 많이 줄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독일의 DB는 지연/연착/플랫폼 변경이 일상이기 때문에 이 점은 감안하시는 게 좋습니다..

 

통신) 여느 독일 교환학생과 마찬가지로 ALDI 유심을 사용했습니다. 보다폰을 사용하는 친구들도 있었으나 많은 친구들이 ALDI 유심을 사용했던 거 같습니다. 교환학생 중에는 8.99유로 콤보 패키지 M을 사용했습니다.

 

4. 학교 및 여가 생활 (동아리, 여행 등)

Bonn 대학교의 경우에는 교환학생들을 위한 모임이 많이 있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International club에서는 매주 월요일 Language cafe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그 외에도 일주일에 1-2번 정도 Baking party & karaoke party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어 시간이 맞을 때마다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또 esn-bonn을 팔로우해서 게시물로 올라오는 행사들을 확인하고 관심 가는 행사가 있는 경우 참여했습니다.

 

저는 여행을 자주 다닌 편인데, 시간표를 수목금으로 짜서 토요일-화요일 여행을 자주 다닐 수 있었고, 특히 5월에는 공휴일이 많아서 수업이 일주일동안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날 때마다 여행을 다닌 결과, 저는 6개월동안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그리스, 파리, 런던, 스위스, 동유럽 등을 여행했고, 독일도 뮌헨,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베를린, 함부르크 등 곳곳을 여행 다닐 수 있었습니다.

 

독일은 여행하기 좋은 나라입니다. 특히 파리, 네덜란드, 벨기에는 Flixbus로 6시간 정도에왕복 6-7만원 정도로 다녀올 수 있을 정도로 가깝습니다. 또 SB60을 타면 쾰른/본공항까지 20분 정도가 걸리는데 쾰른/본 공항에서는 여러 저가 항공사들이 운행하고 있으므로 저가항공사도 자주 이용했습니다.

 

5. 안전 관련 유의사항

Bonn은 학생들이 많아서인지 인종차별나 소매치기의 위험은 적었습니다. 다만 늦은 밤에는 본 중앙역 쪽에 노숙자나 마약을 한 사람들이 많이 돌아다니기 때문에 늦은 밤은 조심하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6. 기타 유용한 정보

- 고아시아 : 아시아 식자재를 구매할 수 있는 식료품점입니다. 매주 첫째 주 토요일은 10% 할인이고, 학생증을 보여주면 평소에도 5%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Poco/Jysk : 이불, 수건 등을 구매할 수 있는 대형 매장입니다.

- DM/Rossmann : 화장품, 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세제, 영양제 등을 구매할 수 있는 드럭 스토어입니다. DM의 경우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프린트를 해야 하는 경우나 사진을 인화하고 싶을 때 DM을 이용했습니다.

- Mediamarkt : 공유기, 브리타, 휴대폰 충전기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곳입니다.

- Rewe/Aldi/Lidl/Edeka : Bonn에 있는 식료품점입니다. Edeka > Rewe > Aldi = Lidl 순서로 가격이 비싸다고 알고 있지만 마트 별로 저렴한 식자재가 있으니 비교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일요일에는 모든 식당과 마트가 문을 닫는데 본 중앙역에 있는 Lidl만 문을 열기 때문에 Lidl에 많은 사람들이 몰립니다.

- nextbike : Bonn 대학교 이메일을 연동하면 공유자전거를 하루에 30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에는 자전거도로나 라인강 자전거길이 잘 되어 있어 자전거를 자주 이용하였습니다.

 

 

Ⅵ.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마치는 소감

사실 저의 경우에는 대학원생으로서 교환학생을 다녀와도 될 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던 거 같습니다. 특히 논문을 준비해야 할 시기에 6개월을 교환학생으로 보내고 오면 조금 뒤쳐지는 건 아닐지에 대한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6개월이라는 시간동안 다양한 경험을 하고 저의 진로에 대한 고민을 충분히 할 수 있어서 어느 때보다 행복하고 의미 있는 시간들을 보내고 왔다고 생각합니다.

 

교환학생은 자기가 어떻게 하냐에 따라 어떤 교환학생 생활로 남는 지가 크게 달라지는 거 같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행사에 참여해서 사람들을 만나려고 노력하고, 근교 도시를 구석구석 여행해보고, 축구 직관이나 공연 등 문화생활을 즐겨보고, 시간이 날 때마다 라인강에서 러닝을 하거나 피크닉을 했는데 이런 시간들이 잊지 못할 기억으로 남았습니다. 그래서 교환학생으로 보낸 시간들에 전혀 후회가 남지 않는 거 같습니다.

 

이런 소중한 기회를 얻게 해 주신 국제협력본부 담당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View Count
248